반응형

1. netstat

netstat -antup

옵션 정리

-a : 모든 소켓 표시
-t : TCP 만 표시
-u: UDP 만 표시
-n: 호스트, 포트 번호 등의 이름 확인을 하지 않고 숫자로 표시
-p: 소켓을 사용하고 있는 프로세스의 ID 표시
-r: 라우팅 테이블 표시
-l : 연결 대기 상태인 소켓만 표시

 

2. ss

최근 netstat 대신 ss(socket statistics) 라는 유틸리티 사용

sudo ss

옵션정리

-l: 모든 리슨하는 포트를 표시
-r: IP대신 이름으로 표시
-t: TCP 소켓만 표시
-u: UDP 소켓만 표시
-x: Unix Domain 소켓만 표시
-n: 호스트 이름으로 변환하지 않고 IP 를 출력. 포트도 서비스명(/etc/services) 대신 포트 번호 출력
-p: 프로세스 정보 표시

반응형

'I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Linux 종류, 배포판, 커널 확인  (0) 2020.10.05
[Linux] 디렉토리 기본 구조  (0) 2020.10.05
반응형

 

1. 리눅스 버전, 배포판 확인방법

cat /etc/*release

위 결과로 내가 사용중인 Linux는 CentOs 버전 혹은 배포판

 

2. 커널 버전 확인방법

cat /proc/version
또는
uname -r

커널 버전은 3.10.0 버전

 

 

반응형

'I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사용중인 포트 확인  (0) 2020.10.05
[Linux] 디렉토리 기본 구조  (0) 2020.10.05
반응형

/

최상위 디렉토리(root directory). 모든 디렉토리는 최상위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위치된다.

 

/bin

대부분의 중요한 실행 파일들이 담겨 있다.

 

/boot

시스템 부팅에 관련된 파일들이 담겨 있다.

 

/dev

디바이스 파일들이 담겨 있다.

 

/etc

시스템 설정 상태를 담고 있는 파일들이 담겨 있다.

 

/home

일반 계정 사용자들의 홈 디렉토리를 담고 있다.

 

/lib

공유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담겨 있다.

 

/mnt

다른 장치들을 마운트하는 디렉토리

 

/proc

프로세스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들이 담겨 있다.

 

/root

root의 홈 디렉토리.

 

/sbin

root가 시스템 운영을 위해 필요한 실행 파일을 담고 있다.

 

/tmp

임시 디렉토리

 

/usr

사용자들을 위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과 설정 파일들이 담겨 있다.

 

/var

로그 파일 등의 시스템 관리와 관련된 정보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.

반응형

'IT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사용중인 포트 확인  (0) 2020.10.05
[Linux] Linux 종류, 배포판, 커널 확인  (0) 2020.10.05

+ Recent posts